목 (생물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Order)은 생물 분류의 한 계급으로, 과보다 상위 분류에 해당한다. 명명법은 국제 조류·균류·식물 명명 규약, 국제 동물 명명 규약, 국제 세균 명명 규약 등에서 다르게 적용되며, 어미 통일 규정이 존재한다. '목'이라는 용어는 1690년대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린네는 동물, 식물, 광물 모두에 목을 사용했다. 동물 분류학에서 목은 자연적인 무리를 가리키며, 식물 분류학에서는 인위적인 분류를 위해 도입되었다. 계층 구조는 동물학, 식물학, 바이러스학에서 상이하게 사용되며, 다양한 접두사를 사용하여 세분화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류 계급 - 속 (생물학)
속은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로, 유사한 종들을 묶은 분류군이며, 학명에서 속명은 대문자로 시작하고 이탤릭체로 표기되며, 모식종이 지정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동물과 식물 간에 속명이 중복될 수 있으며, 종을 속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변경될 수 있다. - 분류 계급 - 과 (생물학)
과는 생물 분류 체계의 한 단계로, 속보다 상위이고 목보다 하위에 위치하며, 명명법은 기준 속의 어간에 접미사를 붙여 정해진다. - 동물의 명명법 - 속 (생물학)
속은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로, 유사한 종들을 묶은 분류군이며, 학명에서 속명은 대문자로 시작하고 이탤릭체로 표기되며, 모식종이 지정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동물과 식물 간에 속명이 중복될 수 있으며, 종을 속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변경될 수 있다. - 동물의 명명법 - 모식종
모식종은 속의 기준이 되는 종으로, 분류군 분할 시 기존 분류군 이름을 자동으로 할당하며, 국제 동물 명명 규약에 따라 속명과 종을 영구히 연결하는 종의 분류 및 명명에 필수적인 개념이다. - 식물의 명명법 - 속 (생물학)
속은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로, 유사한 종들을 묶은 분류군이며, 학명에서 속명은 대문자로 시작하고 이탤릭체로 표기되며, 모식종이 지정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동물과 식물 간에 속명이 중복될 수 있으며, 종을 속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변경될 수 있다. - 식물의 명명법 - 모식종
모식종은 속의 기준이 되는 종으로, 분류군 분할 시 기존 분류군 이름을 자동으로 할당하며, 국제 동물 명명 규약에 따라 속명과 종을 영구히 연결하는 종의 분류 및 명명에 필수적인 개념이다.
목 (생물학) | |
---|---|
생물 분류 | |
계 | 생물계 |
역 | 진핵생물역 |
![]() | |
학명 정보 | |
라틴어 명칭 | Ordo |
접미사 (동물) | -iformes (-목) |
접미사 (식물, 균류, 조류) | -ales (-목) |
분류학적 위치 | |
상위 분류 | 강 |
하위 분류 | 과 |
설명 | |
정의 | 생물 분류 단계 중 하나이며, 강과 과 사이의 단계이다. |
참고 | 목(目)은 생물 분류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
2. 명명법
국제 조류·균류·식물 명명 규약에서는 목이나 아목을 유형의 이름을 바탕으로 명명하는 경우 어미를 통일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설명적인 이름을 붙이는 경우에는 그 의무는 없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어미가 통일되어 있다. 국제 동물 명명 규약에는 통일 어미 규정이 존재하지 않지만, 조류나 원생동물 등에서는 각각 독자적인 통일 어미를 사용하는 관행이 있다. 국제 세균 명명 규약에서는 목 및 아목의 이름은 유형 속의 어미를 변화시킨 것이어야 한다. 최근에 일부 바이러스에 대해 목이 설정되게 되었다.
계급 | 식물 | 세균 | 동물 | 바이러스 | 비로이드 |
---|---|---|---|---|---|
목(Order) | -ales | -ales | -virales | ||
아목(Suborder) | -ineae | -ineae |
'목'(ordola)이라는 용어는 1690년대 독일의 식물학자 아우구스투스 키리누스 리비누스가 처음 사용하였다. 그 전까지는 속(genus)을 모은 최상위 계급을 '최상위 속'(genus summumla)이라고 불렀다. 칼 린네는 《자연의 체계》(1735년, 초판)에서 동물, 식물, 광물 모두에 목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1]
3. 역사
3. 1. 동물 분류학
동물학에서 린네식 목은 더 일관되게 사용되었다. 즉,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의 동물학 부분에 있는 목들은 자연적인 무리를 가리킨다. 그의 목 이름 중 일부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나비목(나방과 나비)과 파리목(파리, 모기, 깔따구, 등에)이 있다.[11] 린네가 동물에 설정한 목은 린네 이전의 동물학 전통을 계승한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3. 2. 식물 분류학
칼 폰 린네가 《자연의 체계》와 《식물종》에서 식물에 사용한 '목'(order)은 강(class)을 더 작은 그룹으로 나누기 위한 인위적인 분류였다. ordola라는 단어가 식물의 자연 분류군에 처음 일관되게 사용된 것은 오귀스탱 피라뮈 드 캉돌의 《식물계 자연 체계의 개요》와 벤담 & 후커의 《식물 속》과 같은 19세기 저작에서였으며, 이는 현재의 과(family)에 해당한다. 린네는 이와 별도로 '자연목(ordo naturalis)'이라는 그룹을 만들었는데, 이 역시 현재의 과에 해당한다.[9]
미셸 아당송의 Familles naturelles des plantes프랑스어(1763)에서부터 19세기 말까지 프랑스 식물학 출판물에서는 famille프랑스어(복수: familles프랑스어)라는 단어가 라틴어 ordola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단어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등가성은 알퐁스 피라뮈 드 캉돌의 Lois de la nomenclature botanique프랑스어(1868)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었으며, 이는 현재 사용되는 《조류, 균류 및 식물의 명명법 국제 규약》의 전신이다.
1906년 국제 식물 명명 규약(구 비엔나 규약)에서는 프랑스어 'famille'는 라틴어 'familia'(과)로, 라틴어 'ordo'(목)는 'cohors'(코호트)로 정의되었다.[10]
일부 식물 과는 여전히 린네의 "자연목"의 이름을 유지하고 있으며, 심지어 린네가 그의 자연 분류에서 목으로 인정한 린네 이전의 자연 그룹의 이름(예: ''야자과'' 또는 ''꿀풀과'')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름은 기술적 과명으로 알려져 있다.
4. 계층 구조
목은 생물 분류 계급에서 강과 과 사이에 위치한다. 목의 상위 계급으로는 상목(superorder), 대목(grandorder), 거목(magnorder) 등이 있으며, 하위 계급으로는 아목(suborder), 하목(infraorder), 소목(parvorder) 등이 있다.
말콤 매케나와 벨(Bell)은 1997년 포유류 분류에서 상목과 목 사이에 '대목(grandorder)'과 '기목(mirorder)'의 두 가지 추가적인 계급을 사용했다.[5] 마이클 노바첵(Michael Novacek, 1986)도 같은 위치에 이를 삽입했다. 마이클 벤튼(Michael Benton, 2005)은 상목과 상목 사이에 이를 삽입했다.[6]
린네가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나 《식물의 종》(Species Plantarum)에서 식물에 대해 사용한 '목'(Order)은 강(Class)에 포함된 속(Genus)이 너무 많다는 이유로 도입된, 완전히 인위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목은 현재 거의 통용되지 않는다.
린네는 이와는 별도로 'ordo naturalis'(자연 계열)라는 그룹화를 하였는데, 이는 현재의 과에 해당한다. 린네 이후 주류가 된 프랑스 식물학에서는 이 'ordo naturalis'와 유사한 그룹을 라틴어로 'ordo', 프랑스어로 'famille'라고 불렀다. 이는 1868년 《식물 명명법 규칙》(Lois de la nomenclature botanique, 통칭 드 칸돌 조약)에도 계승되었지만, 1906년에 발행된 국제 식물 명명 규약(구 비엔나 규약)에서 이 두 개가 분리되어, 프랑스어 'famille'에 대해서는 라틴어 'familia'(과)를 적용하고, 라틴어 'ordo'(목)는 그때까지 'cohors'(코호트)라고 부르던 계급과 같은 것으로 간주했다.
4. 1. 동물학
국제동물명명규약에 따라 일부 분류군의 경우 여러 추가적인 분류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들 모두가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이름 | 라틴어 접두사 | 예시 |
---|---|---|
상목(Magnorder) | magnus, '큰, 위대한, 중요한' | 북아진수류 |
상목(Superorder) | super, '위의' | 진구류, 병파충류 |
대목(Grandorder) | grandis, '큰' | 진영장류 |
기목(Mirorder) | mirus, '놀라운, 이상한' | 영장형류, 맹수류 |
목(Order) | 영장목, 원시거북류 | |
아목(Suborder) | sub, '아래' | 단비원아목, 원시거북아목 |
하목(Infraorder) | infra, '아래' | 원숭이하목, 환지류 |
소목(Parvorder) | parvus, '작은, 중요하지 않은' | 협비원소목 |
말콤 매케나와 벨은 1997년 포유류 분류에서 상목과 목 사이에 '대목(grandorder)'과 '기목(mirorder)'의 두 가지 추가적인 계급을 사용했다.[5] 마이클 노바첵도 같은 위치에 이를 삽입했다. 마이클 벤튼은 상목과 상목 사이에 이를 삽입했다.[6]
4. 2. 식물학
식물학에서 아강(subclass)과 소목(suborder)의 계급은 목(order)의 계급을 기준으로 각각 상위 및 하위로 미리 정의된 부차적인 계급이다.[7]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다면 어떠한 수의 추가적인 계급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7]상목(superorder) 계급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아르멘 탁타잔의 1966년부터의 출판물에서 시작된 -anaela의 어미를 사용한다.[8]
4. 3. 바이러스학
국제 바이러스 분류 위원회의 바이러스 분류에서 목은 15개의 분류 계급 중 하나이며, 접미사 '-virales'로 끝난다.[12][13]참조
[1]
서적
Asking About Lif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
웹사이트
Capitalization: Biological Terms
https://www.btb.term[...]
Public Services & Procurement Canada
2015-10-15
[3]
간행물
McNeill et al. 2012
[4]
서적
Classification of fishes, both recent and fossil
https://ia601404.us.[...]
J. N. Edwards
[5]
서적
Classification of Mammals
Columbia University Press
[6]
서적
Vertebrate Palaeontology
Blackwell Publishing
[7]
간행물
McNeill et al. 2012
[8]
서적
Taxonomy of Angiosperms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9]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10]
서적
Règles internationales de la nomenclature botanique adoptées par le congrès international de botanique de Vienne 1905, deuxième edition mise au point d'après les décisions du congrès international de botanique de Bruxelles 1910; International rules of botanical nomenclature adopted by the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es of Vienna 1905 and Brussels 1910; Internationale Regeln der botanischen Nomenclatur angenommen von den Internationalen Botanischen Kongressen zu Wien 1905 und Brüssel 1910
https://archive.org/[...]
Gustav Fischer
[11]
서적
Volume 2: Insects
https://books.google[...]
Lackington, Allen, and Co
[12]
웹사이트
ICTV Code. Section 3.IV, § 3.23; section 3.V, §§ 3.27-3.28..
https://ictv.global/[...]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2018-10
[13]
웹사이트
ICTV Taxonomy
https://ictv.global/[...]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2018
[14]
서적
Asking About Lif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